잘못된 링크나 팝업으로 잘못 들어가서 Search Protect라는 adware가 설치되고, 윈도우 시스템이 이상해졌다.

 브라우져의 새창의 링크가 이상한곳으로 설정되는건 물론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느려지고, 아무 관련없을것 같은 시너지프로그램에서 마우스 랙이 생겨 느리게 움직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우측 하단의 툴바에는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생겼는데, IE의 프로그램인양 생겼다. 

 

 이 프로그램을 죽이려면 다음은 작업을 해야한다.

  • Process Explore 프로그램등으로 현재 실행중인 HpUI관련 프로세스를 모두 죽인다.

  • C:\Program Files 폴더 하위에서 "HpUI"란 용어로 검색을 한다.


    • 만약 검색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Tab"이란 용어로 검색한다.

      • 폴더명을 xxxTab등으로 변조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를 삭제한다.


 Search Protect를 삭제한 후 everything이라는 프로그램도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Search Protect와 쌍으로 설치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방화벽의 기록을 보면 그이름도 구린냄새가 많이 난다.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려면 C:\User\{사용자계정}\AppData 폴더 하위에 everything이라는 폴더가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해당 폴더가 존재하면 해당 폴더에 들어가서 uninstall을 수행하고 해당 폴더를 삭제한다. 

  


쓰레기 ADWare는 예방이 최선인듯 하다.





Posted by leechwin
,

 HDMI 포트를 이용하면 HD영상과 음성이 포함된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좋은 영상의 화질과 음성을 출력 할 수 있다.

 하지만, HDMI 를 지원하는 기기를 HDMI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 했을 경우이고, HDMI 포트를 지원하지않는 기기와 연결 할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대로 쓸수 가 없다.

 HDMI to RGB 어댑터를 이용하면 기존 모니터, 빔등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데, 이때 소리가 출력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하면, 소리는 Audio Output 단자를 이용하여 출력 할 수 있다.

  • 제어판 > 소리 > 재생 설정
    • 소리 설정값을 외부기기가 아닌 현재 기기의 설정으로 수정한다.
  • 곰 플레이어나 기타 동영상 플레이어 설정을 수정
    • 소리 환경 설정에서 출력 장치를 "Default DirectSound Device"로 설정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막] 구글 번역기를 통한 외국어 자막 번역  (3) 2017.11.02
[Github] Tips  (0) 2015.08.26
공인 IP Address 확인 방법  (0) 2015.06.15
[SourceCleanUp] 소스 코드 포멧팅 툴  (0) 2014.10.13
[NLOC] 소스 라인 분석툴  (0) 2013.08.06
Posted by leechwin
,

 파일삭제시 해당파일이 다른 곳에서 실행되고 있거나, 다른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해당 파일을 삭제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Unlocker라는 툴을 이용하여 해당 파일의 핸들러들을 모두 해제하여 삭제를 하게 할 수 있다.


  • Unlocker
  • 사용법
    • Unlocker설치후 파일 삭제가 안되는 경우 마우스 우클릭의 메뉴중 Unlocker를 실행하여 해당 파일을 잡고 있는 프로세스들을 해제한 후 삭제를 진행 할 수 있다.


Posted by leechwin
,